기하공차
치수와 치수공차만으로는 의사전달 수단이 부족해 도입된 공차
(모호함, 불명확함, 지저분함 해결)
기하공차는 일반적으로 해당되는 치수의 아래에 붙인다.
아닌 경우에는 빨간 별 부분처럼 직접 화살표로 찍어준다.
기하공차를 기입할 때는 기하공차의 종류, 공차역의 형태(∅)와 크기, 데이텀 순으로 기입한다.
기하공차의 종류
공차역 (Tolerance Zone)
- 어떤 기하공차를 해석하면 튀어나오는 공간상의 합격기준, 부피 또는 면적을 가진 영역
데이텀 (Datum)
- 기하공차를 지시하는 경우, 이들을 측정하기 위한 기하학적 기준이 되는 선 혹은 면
위치도 공차
-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기하공차, 가장 많이 사용
- 이 것을 먼저 숙지하면 다른 공차를 이해하는데 수월해진다.
- Q) 크기? A) 홀 크기 10에 +- 1이면 될 거 같다.
- Q) 위치? A) 위치는 위에서 30, 왼쪽에서 50 위치
- Q) 위치공차? A) 위치공차는 위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0.5안에 들어와야 한다.
홀 가공 정보 | |
사이즈 정보 | 10 |
사이즈 공차 | +-1 |
위치 정보 | 위로부터 30, 좌로부터 50 |
위치 공차 | 진위치로부터 반경 0.5 안 [진위치(True Postion) : 의도한 실제 위치] |
아래 사진에서 좌측은 위치공차를 사용하지 않은 형태, 우측은 위치공차를 사용한 공차 형태이다.
좌측 형태의 경우 아래 그림처럼 공차역이 네모 모양이 되고 이것은 공차가 의도한 0.5를 벗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차역의 필요에 따라 다른 공차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래서 위 위치공차 예시 그림의 우측 형태처럼 위치공차를 사용하여 원래 의도했던 공차역의 형태로 가공을 하여야 한다.
30,50에 네모칸을 친 이유
- 기본치수 (Basic Dimension) : 진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치수
- 그러므로 위치공차 예시 그림의 우측처럼 치수공차는 지워지고 위치공차가 대신하게 된다.
- 또한 A,B와 같은 데이텀을 추가한다. (중요도 순서로 작성)
요약 : 작업 결과물(홀)의 센터가 진위치 중심 반경 0.5안에 들어와야 합격영역
→반경 0.5 = 직경 1.0 = 공차역의 크기
실효 조건 - Virtual Condition
명시된 크기와 기하 공차를 결합하여 특정 기능의 허용 변동 범위를 정의하는 개념
부품이 제대로 맞고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기능에 대한 최악의 상황을 나타낸다.
크기를 갖는 형체의 규정된 MMC나 LMC의 재료조건과
그 재료조건을 위한 기하공차의 전체적인 영향에 의해 얻어지는 일정한 경계선
위 홀의 예시에서 합격요건을 지키는 한 무수히 많은 종류의 합격된 제품들이 있을 것이다.
많은 합격 케이스들이 갖는 공통점이 있다.
어떤 특정한 위치를 침범하지 않는다는 것
홀을 뚫는다 (재료를 삭제한다)는 상황에서 빨간 원 경계 안 쪽은 무조건 재료가 삭제됨을 보장한다.
이 영역을 실효 조건 (Virtual Condition)이라 부른다.
홀의 직경이 가장 작은 상태 MMC에서 위치 공차 허용범위 내로 빼서 계산
즉, VC = MMC - 위치공차값
(홀의 경우 MMC (60-2) - 위치공차 1.0 = VC 57)
P.S
사실, 위처럼 모디파이어가 없는 기본형에서는 VC라고 부르지 않는다.원래 기본형에서는 Maximum inner boundry Maximum outer boundry 이런 식으로 부름
일단은 이해를 하기 위해 VC라 칭했다고 한다.
모디파이어 (Modifier)
동그라미 안에 M, L, S 등이 들어가 있는 기호를 모디파이어라고 부른다.
Ⓜ : AT MMC | MMC일때 |
Ⓛ : AT LMC | LMC일때 |
Ⓢ : RFS (Regardless Feature of Size) | 형체치수무관계 (사이즈랑 위치랑 무관한 관계) 현재는 주로 기본형으로 생략 |
AT MMC, AT LMC를 붙이게 되면 홀 사이즈에 따라 위치공차 값이 가변적으로 적용됨
사용이유 : 제작자 입장에서 제작을 편하게 해 주기 위해서
- Q) 크기? A) 홀 크기 10에 +-1 이면 될 것 같다.
- Q) 위치? A) 위치는 위에서 30, 왼쪽에서 50위치
- Q) 위치공차? A) 위치공차는 모르겠고 VC 8만 지켜돌라
VC를 8로 맞춰돌라 | |
Ø9 | 위치공차 1로 |
Ø9.1 | 위치공차 1.1로 |
Ø9.2 | 위치공차 1.2로 |
Ø10 | 위치공차 2로 |
- Q) 위치공차? A) 앞으로는 "MMC일 때"의 공차만 적어놓겠다. 나머지 계산 가능합니까?
- Q) 예를 들어 MMC니까 9일 때 위치공차 1 적용 맞습니까? VC 8 나오는 것 맞습니까?
- A) 맞습니다.
모디파이어 전체 요약
RFS | VC 없음 |
홀 MMC | MMC - 위치오차값 = VC |
홀 LMC | LMC + 위치오차값 = VC |
핀 MMC | MMC + 위치오차값 = VC |
핀 LMC | LMC - 위치오차값 = VC |
Youtube TeleV2 신입사원 도면강좌 13~16
'C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양공차 (진원도,원통도,진직도,평면도), 모양공차 오답 케이스 (1) | 2024.12.23 |
---|---|
위치공차 (위치도,동심도,대칭도) (1) | 2024.12.21 |
데이텀, 데이텀 참조 순서 영향, 기호 X (ASME) (1) | 2024.12.21 |
치수공차, MMC & LMC (0) | 2024.12.20 |
규격, 치수 (0) | 2024.12.20 |